Thursday, February 16, 2012

한국 휴대폰 판매 세계시장 석권, 그러나 해외 생산 대부분

한국 휴대폰 제조업체들이 세계시장에서 선전할 수 있는 데에는 한국정부의 backing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결국 이러한 정책들이 궁극적으로 누구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는가?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제조업 일자리의 감소는 중산층의 약화와 전반적인 사회 기반의 쇠퇴와 연결되어있다. 미국과 일본의 예가 이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겨례로부터:

삼성전자는 지난해 9740만대가 넘는 스마트폰을 팔았다. 애플을 따돌린 세계 1등이었다. 스마트폰 덕택에 삼성전자는 연간 매출 165조원, 영업이익 16조2500억원 달성이란 금자탑을 쌓아올릴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주연’은 지금의 삼성 휴대폰을 있게 한 구미공장이 아니었다. 중국과 베트남 등 해외에 있는 공장들이었다. 삼성 휴대폰 10대중 9대는 우리나라 밖에서 생산되는 게 현실이다.
 
이 때문에 삼성 휴대폰이 지구촌 곳곳에서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지만, 정작 국내 구미공장의 일자리는 늘어나지 않고 있다. 삼성 구미공장 관계자는 “휴대폰 생산 인력은 9500~1만명 사이”라고 말했다. 삼성이 지난 2007년 베트남 진출로 국내 생산기반 축소를 우려하는 여론을 달래려 당시 1만명 수준이던 구미 공장 인력을 더 늘리겠다는 약속을 내놨지만, 5년이 지나도록 지키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런 휴대폰 산업의 ‘외화내빈’ 현상은 비단 삼성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엘지와 팬택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휴대폰 업체들이 글로벌기업으로 고속성장한 이면에는 국내 일자리와 수출의 정체란 불편한 진실이 놓여 있는 것이다.
 
16일 지식경제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내 휴대폰 업체의 해외 생산비중이 78.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 엘지, 팬택 등의 로고가 찍힌 휴대폰 10대 중 8대가 해외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다. 해외 생산비중은 2007년의 35.9%에서 불과 4년 만에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삼성은 구미공장에서 월 500만대의 휴대폰을 생산할 수 있지만, 중국의 텐진•신천•해주 등 3곳과 베트남, 브라질, 인도의 삼성 공장은 모두 월 3500만대 안팎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구미공장에서 생산되는 휴대폰은 200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월간 600만대가량이었으나, 지금은 되려 월간 100만대 수준으로 줄었다. 이제 삼성 휴대폰 대부분은 ‘메이드 인 차이나’ 또는 ‘메이드 인 베트남’인 셈이다.

엘지전자도 평택 공장(월 500만대)보다 중국과 브라질, 인도 등지에서 더 많은 약 800만대의 휴대폰을 찍어내고 있다. 팬택(외주 제외)은 김포에서 85만대, 중국에서 30만대의 월간 생산 능력을 갖췄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519386.html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