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June 28, 2012

Brandon Smith: Americans Are Being Prepared for Full Spectrum Tyranny

From Zero Hedge:

Totalitarian governments, like persistent forms of cancer, have latched onto the long history of man, falling and then reemerging from the deep recesses of our cultural biology to wreak havoc upon one unlucky generation to the next.  The assumption by most is that these unfortunate empires are the product of bureaucracies gone awry; overtaken by the chaotic maddening hunger for wealth and power, and usually manipulated by the singular ambitions of a mesmerizing dictator.  For those of us in the Liberty Movement who are actually educated on the less acknowledged details of history, oligarchy and globalized centralism is much less random than this, and a far more deliberate and devious process than the general unaware public is willing consider.  

Unfortunately, the final truth is very complex, even for us… 

http://www.zerohedge.com/news/guest-post-americans-are-being-prepared-full-spectrum-tyranny

Wednesday, June 27, 2012

Stephanie Kelton: Can the Fed Really Do More?

From Naked Capitalism:

I’ve grown increasingly frustrated by the near universal cry for more action from the Fed. My friend and fellow blogger Marshall Auerback has quipped that it’s as if every mainstream progressive received the same White House memo. I imagine it looked something like this:

Message received! Krugman, Baker, Yglesias, Hayes — everyone seems to have gotten the memo. Ordinarily, they insist, the Fed could reach into its tool kit and deliver a powerful shot of economic adrenaline that would set off a frenzy of borrowing and spending. But that typically potent transmission mechanism is said to be broken because borrowing costs are already essentially zero. The curse of the so-called Zero Bound! What to do? The Fed must move into uncharted territory. It must “do more.”

And so instead of building a powerful, unrelenting case for further fiscal easing, mainstream progressives are focused on the Fed, demanding that it do just as much to promote growth and employment as it does to promote price stability. How? By following Krugman’s advice and “credibly committing to a higher inflation target,” which, it is argued, will stimulate spending by lowering the real rate of interest. It’s a policy recommendation that only an economist (or someone with enough credit hours to be dangerous) could conjure up. I almost hope the Fed tries it so that we can banish this proposal to the wasteland of failed policy recommendations (along with QE1, QE2 and Operation Twist). But millions of Americans are suffering and so I really do not want to see us pursue a losing policy just because the alternative looks like a political nonstarter.

In any event, we’re in a balance sheet recession. We should be encouraging the private sector to borrow less, not taunting people with negative interest rates and encouraging them to leverage up. And we should recognize that the government’s deficit is the key to helping the private sector de-leverage.

Reducing the government’s deficit means cutting the non-government’s surplus, which frustrates their efforts to pay down debt.

We need rising incomes to support a recovery that can be sustained by private sector spending, and the Fed isn’t the agency we should be looking to for help on this front.

John Aziz: Fiat Money Kills Productivity

From Zero Hedge:

Only a wilful and ideological Keynesian could ignore the salient detail: as soon as the USA left the gold exchange standard,  total factor productivity began to dramatically stagnate.   Coincidence? I don’t think so — a fundamental change in the nature of the money supply coincided almost exactly with a fundamental change to the shape of the nation’s economy. Is  the simultaneous outgrowth in income inequality a coincidence too? Keynesians may respond that correlation does not necessarily imply causation, and though we do not know the exact causation, there are a couple of strong possibilities that may have strangled productivity. It’s not just total factor productivity that has been lower than in the years when America was on the gold exchange standard — as a Bank of England report recently found, GDP growth has averaged lower in the pure fiat money era (2.8% vs 1.8%), and financial crises have been more frequent in the non-gold-standard years.

http://www.zerohedge.com/news/guest-post-fiat-money-kills-productivity

Yanis Varoufakis: Greece Is Finished

From Naked Capitalism:

LEIGH SALES, PRESENTER: Joining us now from Athens is the Greek economist Yanis Varoufakis.
The obvious question is: what happens now?

YANIS VAROUFAKIS, ECONOMICS, ATHENS UNIVERSITY: Well, the derailment of the train that is the eurozone, which started with Greece and then other carriages started leaving the tracks sequentially – Ireland, Portugal, now Spain – is continuing. And yesterday’s vote is not going to change that at all. All exuberance and celebrations are completely and utterly misplaced. I’m afraid that the eurozone and Europe is continuing along the path of the last two years of a cascade of errors, a comedy of errors. Just look at Spain, what is happening there today. Look at what is happening in Italy. Unless the logic or what passes as logic in the European approach to this crisis alters and alters fast, very soon the eurozone will be history.

LEIGH SALES: Well, let’s stick with the big picture for the moment before we drill down into Greece. What do you think could happen then to avert that disaster as you see it?

YANIS VAROUFAKIS: Three things, the very simple steps that need to be taken. Look, in Europe, whether it’s Greece or Spain, what we have now is we have insolvent banks that are in a deadly embrace with insolvent states. So, the states get – borrow money from the centre of Europe in order to give to the banks and banks borrow to give to the state and both banks and states are sort of locked into a deadly embrace with another sinking very fast. So what we need to do is we need to break this nexus between insolvent banks and insolvent states. So, the way to do this is to unify the banking system, to Europeanise it in the European Union and have it being funded directly not through national governments. That’s a very simple step, but it’s a step it seems too far for the European Union.

Secondly what you need is a mutualisation, a kind of common debt, like in Australia we have, you know, the Federal Government having its own debt over and above states. And thirdly we need an investment policy which runs throughout the eurozone. Because you have a secondly currency area, you need to have an investment strategy, a recycling mechanism for the whole thing. Unless we have these things, and Germany doesn’t want to have these things, I’m afraid there is absolutely nothing to avert the continuation of this slow motion derailment.

LEIGH SALES: Just to go back to Greece specifically, the politicians in Greece couldn’t even agree on the terms of a televised debate during the election campaign. How are they going to compromise on measures to fix the Greek economy?

YANIS VAROUFAKIS: They cannot fix the Greek economy. The Greek economy is finished. The Greek economy is in a great, great depression. The growing social economy is in its long, long winter of discontent. There is no power, no force within the Greek economy, with Greek society that can avert – it’s like – imagine if we were in Ohio in 1931 and we were to ask: what can Ohio politicians do to get Ohio out of the Great Depression? The answer is nothing.

LEIGH SALES: So what then happens to Greece?

YANIS VAROUFAKIS: It depends on what happens in the eurozone. Just like what happened in Ohio depended of the rise of President Roosevelt and the New Deal, unless we have a new deal for Europe, Greece is not going to get a chance. Now it doesn’t mean that if Europe fix itself, Greece will fix itself. It’s a necessary condition that the eurozone finds a rational plan for itself. It’s not a sufficient condition. Europe may fix itself and Greece, being so flimsy and malignant, may still have huge problems and never recover. But until and unless the eurozone finds a rational plan for stopping this train wreck throughout the European Union, throughout the eurozone, Greece has no chance at all.

LEIGH SALES: I read some statistics today that seven out of 10 Greeks want to emigrate. How would you describe the national mood there?

YANIS VAROUFAKIS: This is a our Great Depression. Not only in an economic sense, but also in a psychological sense. Greeks are in a catatonic state. One moment, in a state of rage, another, this is a typical case of manic depression. There are no prospects. There is no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There are sacrifices, but nobody gets a feeling that these are sacrifices that take the form of some kind of investment in turning the corner. This is the problem when you are stuck in a eurozone which is really badly designed, which is collapsing and which does not give opportunities to its flimsier parts to escape through some kind of redemptive crisis.

Sunday, June 24, 2012

급속히 위축되는 산업현장: "中시장 침체 겹치면 재앙 수준 충격"

한국 미디어들도 한국 실물경제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는 것을 드디어 심각하게 보도하기 시작했다.  언급되었듯이 이 블로그를 읽어오신 분들은 중국이 hard landing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많은 data point들이 가르키고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실 것이다.  다시 한 번 얘기하지만 우리는 cyclical recession을 지나고 있지 않다.  그리고 우리가 겪고 있는  global economic debacle은 자연 재해가 아닌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한국의 경우도 외국 forces 탓으로만 돌릴 수 없다.  그리스 등 유럽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대다수의 국민이 댓가를 치뤄야 할 것으로 보이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각 나라마다 context는 다르지만 공통적인 근본 문제는 kleptocracy라고 보여진다.  이는 유럽, 미국, 아시아 국가들에게 다 적용되는 얘기이다.

한국경제로부터:

일부 화학제품은 한 달 새 유럽 수출이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태양광 같은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철강제품의 사정도 좋지 않다. 태양광 모듈 등을 수출하는 7~8개 국내 업체 가운데 한두 곳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문을 닫기 직전인 것으로 알려졌다. 철강 역시 유럽 내에서 장기계약을 제외한 스폿성 판매는 완전히 끊어졌다. 종합상사 관계자는 “유럽 위기가 중국이나 미국으로 옮겨 붙으면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에 재앙 수준의 충격이 올 수 있다는 게 현장 전문가들의 판단”이라고 했다.

주력 수출 산업 중 화학과 철강, 조선은 이미 불황에 빠져들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한 대기업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수출이 뚝뚝 떨어지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2분기 실적 발표가 두렵다”고 털어놨다.

기계업체들은 세계 건설중장비 수요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발 불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두산인프라코어의 지난달 중국 굴삭기 판매는 858대로 전년에 비해 18.3% 감소했다. 4월에는 1227대로 전년 대비 55.8% 줄기도 했다. 현대중공업은 중국 중장비 공장 가동을 3분의 1 정도 줄인 것으로 전해졌다.

르노삼성자동차는 야심작 대형 세단 SM7의 실패와 SM3, SM5 등 다른 차종의 판매 부진으로 긴축 경영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올 들어 잔업이나 주말 특근을 하지 않고 있다. 시간당 생산대수를 나타내는 UPH는 종전 60에서 지난 4월부터 50으로 낮췄다. 한 주에 하루씩 생산라인을 가동하지 않는 ‘비가동일’도 운영하고 있다. 르노삼성 관계자는 “UPH와 워킹타임 두 가지 방법으로도 공장 유지가 어려울 경우 생산조직에 손을 대야 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62451561&sid=01012014&nid=000&type=

"Do not be deceived: God is not mocked. For whatever one sows, that they will also reap. For the one who sows their selfish desires will from the flesh reap death, but the one who sows in goodness will from the Spirit reap eternal life. So let us not grow weary in our labors, for in due season we will reap His justice, if we do not fall away and give up. And as we have opportunity, let us do good to everyone, and especially in support of our family in faith."
Galatians 6:7-10

현재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일들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reset이 될 수 있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함께 기도를 드렸으면 합니다.

이번 주 포스팅과 관련된 단상들과 어떻게 기업가 정신과 중소기업을 육성할 것인가

이번 포스팅을 하면서 느낀 몇가지 단상들을 적고 이전에 써 놓은 "어떻게 기업가 정신과 중소기업을 육성할 것인가"를 밑에 붙입니다.

- 블로그에서 이미 힌트를 것을  mainstream media에서 심층 취재를 해서 기사화하는 경우가 느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번 주에 올린 뉴욕 타임즈와 롤링 스톤즈 기사가 예라 있다.   개인적으로 journalism 대한 애정도 나로서는 이렇게라도 매스 미디어가 본연의 기능을 지속해 것을 바라마지 않는다.

-이번 달에 블로그 방문자수가 부쩍 늘어 이미 블로그 개설 이후 최다수를 넘었다. 다시 포스팅을 하니까 이전의 고정독자분들이 찾아 주시는 경향도 보이고, 이번 키워드 유입경로를 기술전략과 S곡선에 대한 자료를 찾는 이들이 (아마도 학생들로 추정되는데, 학생이 아니더라도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일을 하려는 실력있는 젊은이들이 많이 나오기를 바라는 마음이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는 이유중의 하나인데) 이렇게 많을 몰랐다.  제조업 중심의 산업기반과 기술혁신을 통한 생산적 역량이 한국경제의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는 블로그의 주요 주제이고, 재벌보다는 작지만 강인한 중소기업이 주체가 되어야 것이다.  기술집약적 기업들의 창업과 기술혁신을 도모하기 위해 institutional arrangements 중요한데 한국 공대교육의 혁신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실무에 강한 실력있는 엔지니어를 배출해 내야 할 것이다. 경영전략, 기술혁신전략/관리, 마케팅/인사조직 관리 등등도 중요하지만 우선 기술적으로 실력있는 인재의 풀이 많아야 하는데 답답한 측면이 많다.  안철수교수가 청년들의 창업과 교육을 뒷받침하는 쪽으로 안철수재단의 윤곽을 잡아가고 있다는 기사를 이번주에 접했다.  매우 훌륭한 취지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기술적으로 자신감이 있은 후에 entrepreneurship 자연스럽게 follow하게 것으로 보인다.  미국도 뛰어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구하기가 쉽지 않은데 한국은 취약한 소프트웨어에서 갈길이 아직도 멀어 보인다.(한국이 전통적으로 강한 반도체에서도 소프트웨어의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은 아실 것이다.)  한국은 technology trade deficit 나라이다.  Emerging technology뿐만이 아니라 advanced material, capital goods 등등 기술적으로 실력만 있으면 창업할 기회는 많다고 보여진다.  설사 창업해서 단기간의 성공을 맛보기는 쉬워도 sustainable 장수하는 기업으로 키워나가는 쉽지 않다는 것을 기억해야 것이다.  넓고 깊이있게 다각적으로 보는 perspective 키워가기를 당부드린다.

-재벌의 문제점 중의 하나가 한국의 재벌체제가 장기적으로 한국 사회의 innovation potential entrepreneurial spirit diminish시켜 왔다는 것이다. 이점도 블로그에서 여러 강조한 포인트이다.  한국 정부의 backing 없이 재벌은 오늘날처럼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공할 수가 없었다 (물론 이들 기업들의 자체 노력을 undermine하는게 아니다)  그렇다면 재벌이 한국의 제조업에서 일자리 창출과 유지에 기여하는 부문이 커야한다는 얘기다.  한국기업들이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가들로 공장을 옮긴데는 여러가지 요인이 있지만 정부와 재벌이 social consideration 하지 않은 소수의 interests 추구한 측면도 크다. 특히 주목해야 점은 재벌의 수익구조에서 제조업과 비제조업 분야에서의 비중이 차지하는 구성이 어떻게 변해가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미국의 예가 보여주는 것처럼 conglomerates financial sector에서 보다 이익을 내자 제조업을 등한시해 것이 미국의 deindustrialization 중산층의 쇠퇴에 기여한 요인중의 하나이다.

-중국은 한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이다.  신뢰할만한 data point들이 중국이 hard landing 것을 가르키고 있다. 과정에서 중국의 대다수 국민들이 고통을 받게 모른다.  다만 유로존 위기처럼 imminent 것으로 보이지 않을 뿐이다.

중국의 기술혁신 속도는 매우 빠르다.  일본과 한국으로부터 technology transfer 노하우를 제대로 전수받은 듯한 느낌이다.  그런데 블로그의 핵심주제중의 하나인데 혁신을 위한 노력과 집중도 대다수의 social good 위해 추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술혁신도 소수의 이익을 위해서만 제도적으로 도모될 있다는 것을 (단기적으로는 그렇게 보이지 않더라도) 역사는 보여주고 있다.

어떻게 기업가 정신(entrepreneurship) 중소기업(SMEs) 육성할 것인가

무엇보다도 대기업 중심의 수출 위주의 경제 전략과 산업구조를 어느 정도 바꾸기 전에, 재벌에게 주는 특혜를 줄여 공정한 경쟁을 도모하는 규제 정비와 시장 생리를 바꾸지 않는 한국의 중소기업 활성화는 어렵다고 보여진다.  대기업이 모든 자원과 이들에게 favorable 규제를 통해 수출위주의 주요 산업을 독식하고 있어 기술력있는 supplier chain 발달시켜 공생하려는 생각보다 수익위주의 전략을 구사해 왔다.

대기업 물량 위주의 사업을 선호하다 보니 작지만 경쟁력있는 기술집약 중소기업을 키우는데는 시간과 노력이 들기 때문에 이를 위한 vocational training 교육제도의 개선, 세제와 규제 정비등 전반적인 인프라 구축에 애를 써야 것으로 보인다.

기업가 정신과 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정부의 정책 방향이 직접적인 시장 개입 (예를 들어 특정 산업 육성을 위해 market-forming role까지 담당한다든지) 보다는 역량과 비전을 갖춘 entrepreneur들이 많이 나올 있도록 전반적인 인프라와 structure 제공하고, 사회적 문화를 조성하는 간접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것이다.  또한 risk taking 정도가 emerging technology 투자하는 기업에 대해 tax break 같은 인센티브를 제공한다든지의 간접지원 방식이 장기적으로 보다 유용하다 하겠다.

재벌 개혁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사람들이 지적을 왔고 여기에서도 여러 다루었다.  다만 한가지 첨언하고 싶은 것은 미국이나 일본의 경우도 마찬가지이지만 재벌의 존재와 번성 이면에는 global political economy 한국의 political economy 이슈가 맛물려 있기 때문에 이를 당장 dissolve시키기가 매우 힘든 사실이다.  독일이나 일본처럼 작지만 강한 기술집약적인 중소기업을 지속적으로 키우는 일에 초점을 맞춰 재벌 시스템이 이와 어느 정도 조화를 이루며 공존할 있도록 institution building 하는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혁신 시스템 (Korean Innovation System) 쇄신도 시급하다.  현재의 R&D funding 시스템을 개선하고 (평가제도의 개선 ) 선진국처럼 GRI에서 기초연구가 강화되어서 이를 바탕으로 entrepreneur들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있는 구조가 형성되어야 것이다.

교육제도의 개선도 필요하다.  현재의 교육제도는 소수의 우수인재가 소위 명문대학에 진학을 하고 이들이 한국의 메이저 재벌기업에 취직하는 것에 상당 부분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렇게 배출된 인재들도 엔지니어의 경우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skills 갖추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학교육의 목표가 무엇보다도 the social good 기여할 있는 informed 시민을 배출하는데 초점을 맞추돼,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제품으로 구체화시켜 이윤을 창출할 있게 혁신을 바탕으로 사업기회의 창출과 기업육성에 토대가 되는 지식과 skill set 가르쳐야 것이고, 전문 분야에서 실력을 겸비하고 risk taking 두려워하지 않는 인재들이 교육을 통해 육성되어야 것이다.

이밖에도 경제가 financialization 되면 그만큼 productive sectors에서 기업가 정신과 중소기업이 타격을 입는다.  따라서 economic fundamentals 튼튼히 하고 dissonance between manufacturing and financial sectors 줄이는 것도 기업가 정신과 중소기업이 성장할 있는 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