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April 29, 2012

"We are God's children now; what we shall become has not yet been revealed. We do know that when all is revealed we shall be like him, for we shall see him as he is."
1 John 3:2

Saturday, April 28, 2012

어떻게 일자리를 창출할 것인가 (How to Spur Job Creation)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economic debacle은 전세계적으로 퍼져있어 많은 나라들이 영향을 받고 있다.  그 중 비교적 잘 fare하고 있는 스웨덴 같은 나라에서 우리가 배울 점은 fiscal conservatism, monetary independence, 그리고 무엇보다도 job creation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여러번 강조했지만 median income increase 없이 진정한 의미의 recovery는 어렵다고 본다.

그렇다면 어떤 부문에서 어떻게 일자리를 창출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Stimulus의 일환으로 제공되는 일자리들은 한시적으로 효과가 있을 지 모르겠지만 장기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한다.  무엇보다도 wealth creation을 담당하고 있는 productive sectors에서 일자리 창출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제조업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여러번 논의 되었지만 미국이 오늘날의 문제에 봉착하게 된 것은 제조업을 다른 나라에 내 주고 경제를 financialization 시켜왔기 때문이다.  제가 어떻게 해서든지 한국 제조업의 더 이상의 쇠퇴를 막아야 한다고, 투기 자본이 productive assets을 strip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거듭 강조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재벌보다 중소기업이 일자리 창출의 주역이라는 것도 여러번 강조해 왔다 (이는 미국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재벌과 중소기업이 level playing field에서 경쟁을 통해 일자리 창출을 도모할 수 있는 structure를 제공하고 proper regulations을 통해 불공정 관행을 막아야 할 것이다.  Institutional arrangements를 근본적으로 재정비하는 것이 skewed industrial structure를 쇄신할 수 있는 유일한 길로 보인다.  물론 personal wealth보다는 job creation이 존경받는 사회문화의 정립도 중요할 것이고, 산업체에서 필요한 인재 풀을 육성해 내는 교육시스템의 쇄신도 필요하다.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piecemeal approah보다는 holistic 접근을 해야 한다고 본다.  Asian mercantilism이 더이상 work out하지 않을 것이라고 많은 이들이 지적해 왔다.  따라서 domestic consumption base를 늘여 export-driven model에서 self-sustaining model로 transition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 painful한 과정을 겪어야 할 지라도 endure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득을 제공하는 일자리 창출을 통해 소비가 이루어져 industrial production이 경제의 주역으로 자리 잡는 길 만이 한국 경제가 살 길이지 미국처럼 financial sectors가 주요 산업으로 자리 잡아 deindustrialization 과정을 거친다면 sovereignty를 걱정해야 할 지경에 이를 것이다.

또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productive sectors에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free enterprise system이 자리 잡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 command economy의 체질을 바꾸어야 한다.  이는 정부 정책의 근본적인 방향 전환과 (예를 들어 단기적으로는 유용한 정책도 market distortion을 가중시킨다면 체질 개선이 어렵다) command economy의 중요한 means가 되어온 banking sector의 reform도 수반하는 일이다. 

물론 일자리를 줄여야 국가 경제에 도움이 되는 분야도 있다.  Fiscal conservatism을 위해 small government를 지향해야 된다는 것은 많은 나라의 사례가 입증해 주고 있다.

US Companies Are Furiously Creating Jobs Abroad

From Zero Hedge:

Whatever one thinks of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Kalecki equation (and as we pointed out a month ago, GMO's James Montier sure doesn't think much particularly when one accounts for the ever critical issue of asset depreciation), it intuitively has one important implication: every incremental dollar of debt created at the public level during a time of stagnant growth (such as Q1 2012 as already shown earlier) should offset one dollar of deleveraging in the private sector. In turn, this should facilitate the growth of private America so it can eventually take back the reins of debt creation back from the public sector (and ostensibly help it delever, although that would mean running a surplus - something America has done only once in the post-war period). This growth would manifest itself directly by the hiring of Americans by US corporations, small, medium and large, who in turn, courtesy of their newly found job safety, would proceed to spend, and slowly but surely restart the frozen velocity of money which would then spur inflation, growth, public sector deleveraging, and all those other things we learn about in Econ 101. All of the above works... in theory. In practice, not so much. Because as the WSJ demonstrates, in the period 2009-2011, America's largest multinational companies: those who benefit the most from the public sector increasing its debt/GDP to the most since WWII, or just over 100% and rapidly rising, and thus those who should return the favor by hiring American workers, have instead hired three times as many foreigners as they have hired US workers. Those among us cynically inclined could say, correctly, that the US is incurring record levels of leverage to fund foreign leverage, foreign employment, and, most importantly, foreign leverage.

http://www.zerohedge.com/news/us-companies-are-furiously-creating-jobs-abroad

BOJ Eases; Project 'End-Up-Like-Japan' Continues

From Zero Hedge:

"It won't be long before CPI is back above 1%", we promise, this time - we really mean it - is seemingly how the BoJ defends its decision to follow Einstein's definition of insanity  by doing the same thing over and over again expecting a different outcome (Nov 2008 was the last time CPI was above 1% YoY). Admittedly, at some point the ever-increasing BoJ balance-sheet-to-GDP will become too much even for a nation hell-bent on printing its way out of chronic deflation only to be punched-and-kicked by a balance-sheet-recession so deep and full of deleveragers. The facts are that the BoJ will expand its LSAP-equivalent program by JPY10tn (USD123bn) - raising the 'stock' - but maintaining the same pace of JGB-buying at JPY1.8tn per month - leaving the 'flow' stable - hence extending the program by around six months. At the same time they have extended the maturity of JGB purchases from 2Y to 3Y (try and wring a little more duration out of an already starved yield curve). USDJPY was entirely confused out of the gate and rallied immediately only to about-face and sell-off up to 81.45 before already giving back half of its losses to pre-BoJ anouncement. The JPY sell-off implicit carry moves did nothing to move US equity futures (which limped up 1-2pts and then gave it back) and even the NKY has retraced 65% of its post-BoJ gains. Perhaps it is all about the flow and the need for that second derivative to be constantly rising after all? Whether it is repatriation flows or carry-unwinds, JPY devaluation (as we have discussed Andy Xie's perspective on) may just have to be done 'forcefully' as opposed to 'suggestively'.

http://www.zerohedge.com/news/boj-eases-einstein-rolls-over-grave

From Zero Hedge:

As we noted (here and here) earlier this week, the world increasingly looks like 'Japan' with little aggregate way out. The following chart perhaps confirms the repressive wave of ongoing intervention across the developed world. Extrapolating trends into the future implies that since the world's central banks will need to have a short-term rate of negative 2% by 2020, there is a lot of QE-equivalent easing still to come. As Simon Black noted, "The ironic triumph of the Keynesians means that, in trying to save the economy, our central banks may end up destroying it completely by means of the printing press; as a consequence, we now get to experience some of the full-on horror of the Japanese malaise."

http://www.zerohedge.com/news/project-end-japan-continues

Wednesday, April 25, 2012

Apple Cash Hits $110 Billion, Up $12.6 Billion; Apple for Dummies

From Zero Hedge:

If there is anything at all less than superlative that can be said about Apple's consolidated cash hoard, which grew by $12.6 billion in the quarter and double from a year earlier, is that it is a tad less exponentially than before. Still, not bad: the country's cash stash is nearly enough to cover the first Greek bailout (will need to wait 2 more quarter for it to be sufficient to pay for the fifth one).

http://www.zerohedge.com/news/apple-cash-hits-110-billion-126-billion

From Zero Hedge:

Since last night's blockbuster earnings by Apple presented yet another "paradigm shift" in how the company is presented to potential new investors (how many are left one wonders); namely, no longer reliant on incremental US purchases - just to avoid the thorny issue of wireless company subsidization - and one now dependent on Chinese consumer demand for future growth, we thought, in conjunction with William Banzai, to present a graphic simplification of what the Apple business model is all about going forward. Two words: "value added"

http://www.zerohedge.com/news/apple-dummies

Steve Keen On Europe's Delusion And Why The Entire World Is Turning Japanese

From Zero Hedge:

Economic Debunker Steve Keen is interviewed by outspoken Irish journalist Vincent Browne and no holds are barred as he describes the Maastricht Treaty as a suicide pact of critically poor central-planning design of a supposed market-economy, based on financial crises never occurring, locking European governments into an austere path when stimulus is required. "Ultimately the Euro has to fail and the longer we continue the farce of believing we can make it function the larger the ultimate crash will be" is how Keen portrays the situation and describes the foreign-exchange, fiscal policy, and monetary policy shackles that have created and exaggerated the situation. This leads into a longer discussion of the state of the World and its inability to 'export into the ponzi' like Japan could from 1990 to 2010 since the entire developed world is trying to do the same thing and "there is no ponzi scheme on Mars that we can export to" leaving the globe without Japan's initial way out. The must-watch 10 minute interview goes on to discuss the endgame (a break in the political compact based on austerity pressures and military or political coups) as Keen sums up "it's amazing to see us repeating the same mistakes that were made during the 1930s but we are doing just that." ending with some potential solutions noting that there is no easy way out of this.

http://www.zerohedge.com/news/steve-keen-europes-delusion-and-why-entire-world-turning-japanese

Thursday, April 19, 2012

Charles Hugh Smith: Why the U.S. Middle Class Is Doomed

Elizabeth Warren has contended that the U.S. middle class has been subjected to a dismantling, as posted.

This is not limited to the U.S. As I have discussed many times, the Korean middle class has dwindled as well.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of Korea, Korea’s income group structure is showing a rapid change from a middle class-strong jar shape to a poor class-strong pyramid shape.

The erosion of the middle class leads to the deterioration of the democratic system, which is a lot hard to rebuild.

The silent coup continues while many economies are showing signs of cracking. This is no ordinary cyclical recession.

Again, policy choice should be closely aligned with the nature of the society it wishes to encourage. It is critical for the middle class to be solid and empowered.

From Of Two Minds:

The Federal government is supporting its dependents and its crony-capitalist Elites with borrowed money: $1.5 trillion every year, fully 40% of the Federal budget. It is in effect filling the gap between exploding costs and declining income, just like the middle class did until they ran out of collateral to leverage.

The dwindling middle class, now at best perhaps 25% of the workforce, has been reduced to tax donkeys supporting those above and below who are dependent on Federal largesse.

Fisher found that this cycle ends in transformational political upheaval. No wonder; even as the class paying most of the taxes shrinks and is pressured by higher costs, the class of dependents expands as the economy deteriorates and the super-wealthy Power Elites continue to control the levers of Central State power.


http://charleshughsmith.blogspot.com/2012/04/why-middle-class-is-doomed.html

BOJ Ready to Engage in More QE to Meet 1% Inflation Target

We would assum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is fully aware of the consequences to future generations.

Japan had a strong manufacturing-based economy, but they squandered their world class assets through bad debt and insolvent Kereitsu.

BOJ’s quantitative easing succeeded in stoking asset inflation, yet when it unwound its QE, deflation returned. Japan’s stock market rose up from about 2003 to 2007, and then declined after QE was unwound. Meanwhile, BOJ has been heavily monetizing its own debt.

Is Japan coming close to the end game? Perhaps they can rebuild the system after once they reach the final stage.

From the WSJ:

The Bank of Japan stands ready to take additional steps as needed to achieve its price goal, a deputy governor of the central bank said Wednesday, amid strong expectations it will act at its policy-board meeting next week.

"The bank is committed to implementing additional easing measures if deemed necessary," Kiyohiko Nishimura told business executives in a speech in Okayama, western Japan.

"We will pursue powerful easing through a virtually zero interest-rate policy and asset buying until the 1% goal comes into view," he told business leaders.

Market participants took Mr. Nishimura's comments as confirmation the bank will act at its meeting next week, which will follow close on the meeting of the U.S. Federal Reserve's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on April 24 and 25.

"The BOJ will ease its policy even without the Fed's action. That's the market's understanding. Nishimura's comments today confirmed that," said Atsushi Ito, a senior analyst at UBS Securities in Tokyo.


http://online.wsj.com/article/SB10001424052702303513404577351253450208624.html

Monday, April 16, 2012

Joseph Stiglitz: Is Mercantilism Doomed to Fail? And With It the US Dollar?

I have pointed out how the Asian mercantilism including Japan, Korea, and China has been associated with the US dollar reserve currency status. In a sense, these have fed off each other. This model was flawed and has to end at some point.

From Jesse's Cafe:

This is Joe Stiglitz' presentation at the INET conference in Berlin last week. He speaks about mercantilism, and I added the tagline about the dollar.

The one point I wish to make emphatically is that only under a fiat currency trade system can these large deficits and surpluses be crea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ebt bubbles, and asset bubbles.

This is not a new idea, of the natural balance that hard currencies present in a global trading system. But it has been forgotten, put aside in recent years. My friend Hugo Salinas-Price has written a nice presentation of those ideas in his essay Gold Standard: Protector and Generator of Jobs.

I have written on the topic many times, most recent in The Great Flaw In Free Trade Theory and other Vain Beliefs, Hoaxes, and Follies.

Under a hard currency or asset system of trade, as one country draws down its stock of gold, for example, its gold-backed currency would automatically become devalued since there would be less gold underpinning it.

Conversely, as a country built up a trade surplus, over time so much gold would flow to that country so that its currency would appreciate relative to the currencies of the debtor nations.

These changes in valuation would tend to 'balance' the trade flows naturally, and unilateral mercantilism would fail long before it threatened the stability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That is not to say that exploitative trade might not exist, such as under the British Empire. These took more of a form of colonialism, a kind of mercantilism among master and vassals. But any trade imbalances between developed nations with their own currencies could only grow large with great difficulty.

A fiat currency regime allows huge imbalances not only to exist, but to grow to dangerous and unsustainable levels that threaten the very system itself.

Some of today's problems are indeed because the US is acting as the 'deficit of last resort' because it owns the world's reserve currency. This is known as Triffin's dilemma.

My thoughts about Triffin's Dilemma and the international trade structure that as a businessman I was operating within during the 1990's, especially after Bill Clinton allowed China to obtain free trade status after a large currency devaluation and without a floating currency stipulation, was that ultimately the world would be plunged into a currency war that would likely either lead to a unified financial order, possibly a triumvirate of spheres of influence, or the failure of the dollar and a radical restructuring of the global financial power structure.

So far we seem to be on track.


http://jessescrossroadscafe.blogspot.com/2012/04/joseph-stiglitz-is-mercantilism-doomed.html

Saturday, April 14, 2012

Morgan Stanley: Why the Market Is Slowly Dying

From Zero Hedge:

To wit from Morgan Stanley:
"In our mind, many of the approaches to algorithmic execution were developed in an environment that is substantially,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oday’s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 early part of the last decade saw households as significant natural liquidity providers as they sold their single stock positions over time to exchange them for institutionally managed products... While the time horizon over which liquidity is provided can range from microseconds to months, it is particularly shorter-term liquidity provisioning that has become more common."

Translation: as retail investors retrench more and more, which they will due to previously discussed secular themes as well as demographics, and HFT becomes and ever more dominant force, which it has no choice but to, liquidity and investment horizons will get ever shorter and shorter and shorter, until eventually by simple limit expansion, they hit zero, or some investing singularity, for those who are thought experiment inclined. That is when the currently unsustainable course of market de-evolution will, to use a symbolic 100 year anniversary allegory, finally hit the iceberg head one one final time.


http://www.zerohedge.com/news/why-market-slowly-dying

축복을 함께 나누어야

이번 주에 유난히 김인수 교수님 생각이 많이 나 예전에 올렸던 김교수님께서 젊은이들에게 하신 말씀 중의 일부를 다시 올립니다.

굳이 기독교인이라는 말씀을 안 하셨더도 인격과 실천으로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주셨던 제 인생에서 만나 본 몇 안되는 분이셨습니다.

---

잠언 10장4절에는 “손을 게으르게 놀리는 자는 가난하게 되고 손이 부지런한 자는 부하게 되느니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열심히 얻은 것이라고 우리 마음대로 자기만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그리스도인이 지켜야할 사랑의 생활이 아닙니다. 우리 주위에는 구조적 모순 때문에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고생하는 사람들도 있고, 심신의 장애로 말미암아 노력을 제대로 할 수도 없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나님의 사랑을 받은 그리스도인은 받은 바 축복을 이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성경은 우리에게 고아와 과부를 불쌍히 여기라고 계속 강조하고 있고, 부익부 빈익빈에서 발생하는 영구적 빈곤을 퇴치하기 위해 희년 제도를 두어 모든 빗을 무조건 탕감해주고, 노예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길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또한 마태복음 25장에는 “여기 네 형제 중에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내게 한 것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스도 예수가 평생 남을 위하여 살았듯이 우리도 그리스도 예수를 닮아 남을 위하여 살아야 하며 그렇게 할 때 가장 행복한 삶을 살게 됩니다.

찰스 웨슬리는 그리스도인이 지켜야할 경제생활 원칙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첫째, 열심히 일하라, 둘째, 열심히 일하여 생긴 재물을 열심히 아껴 써라. 셋째, 열심히 아껴서 남는 것은 열심히 남과 나누어라. 참으로 좋은 원칙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이 글에서 정직하게 최선을 다하여 사는 것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살아서 우리에게 주어지는 축복을 우리가 독점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뜻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주어지는 모든 것은 우리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것이며, 단지 우리가 잠시 관리하는 청지기에 불과합니다. 그것을 소외된 이웃과 나누는 것은 하나님의 뜻입니다.

하나님은 이렇게 나누는 사람을 축복하십니다. 잠언11장24절에 보면 “흩어 구제하여도 더욱 부하게 되는 일이 있나니, 과도히 아껴도 가난하게 될 뿐이니라” 라는 말씀이 있습니다. 흩어 구제하면 하나님이 기쁘게 여기시고, 스스로의 마음이 풍족해지며, 주위사람들도 존경하게 되고, 그런 가정에서 자라는 자녀들이 사랑을 배우며 자라게 되어 좋은 신앙인격을 갖게 됩니다. 이런 것들이 바로 축복이 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도와주고 싶어하는 사람이 되기 때문에 열심히 하는 일이 더 잘 되게 마련입니다. 또한 혹 어려움을 당하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기꺼이 도와주기 때문에 잘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자기만을 위하여 제물을 쌓아두는 사람은 하나님이 기뻐하지 않으시며, 마음이 인색하여 평안을 잃게 되며, 자녀들도 이기적인 사람으로 성장하게 되고, 다른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 되고 맙니다. 이런 사람이 어려움을 당하면 아무도 도와주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가 받은 축복은 경제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더 중요한 것은 영적 새 생명의 축복입니다. 우리가 하나님의 복음을 깨닫고 예수를 영접하여 새 사람이 된 이 기쁨을 다른 사람과 나누어야 합니다. 마가복음 1장을 보면 예수께서 가버나움에서 종일 병든 자와 귀신 들린자들을 치료하시다가 나중에는 그 일을 다 그만두고 전도를 하려 갈릴리로 몰래 도망가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8절에 보면 “이르시되 우리가 다른 가까운 마을들로 가자 거기서도 전도하리니 내가 이를 위하여 왔노라 하시고” 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겉 사람을 고치는 사랑의 생활을 하시던 예수께서 속 사람을 고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씀하시면서 많은 병자들을 뒤에 두고 갈릴리로 가십니다. 39절 말씀을 보면 “이에 온 갈릴리에 다니시며 저희 여러 회당에서 전도하시고 또 귀신들을 내어쫓으시더라”고 쓰여 있습니다. 속 사람을 고쳐주려고 가시다가 귀신들린 자들을 만나자 또 겉 사람을 고쳐주시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예수께서는 사랑의 삶과 전도의 삶을 동시에 하시며 살아가셨습니다.

우리의 삶도 모두가 전도입니다. 정직하게 최선을 다 하여 사는 성실한 삶도 믿는 사람이 가진 온전한 모습을 다른 사람들에게 보이는 것이어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됩니다. 또한 우리의 재물과 재능과 시간을 들여 불우한 이웃을 돕는 사랑의 생활도 바로 사랑이신 하나님을 보이는 삶입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말씀을 준비하여 복음의 멧세지를 전하는 것도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베드로전서3장15절에 보면 “너의 마음에 그리스도를 주로 삼아 거룩하게 하고, 너희 속에 있는 소망에 관한 이유를 묻는 자에게는 대답할 것을 항상 예비하되 온유와 두려움으로 하고” 라고 적혀있습니다. 우리의 삶을 거룩하게 하면 사람들이 그 비결을 물을 것입니다. 그 때 대답할 준비를 잘 해 두어야 합니다. 그 뿐 아니라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복음을 전하라”는 명령이 있습니다. 복음이 우리에게 큰 축복이 되듯이 그것이 우리의 이웃에게도 큰 축복이 되도록 나누어야 하겠습니다.

그 동안 많은 그리스도인들의 삶이 로마서 2장24절에서 보는 “하나님의 이름이 너희로 인하여 이방인 중에서 모독을 받게 되었도다” 라는 말씀에 해당하는 삶을 살았습니다. 그러나 앞으로는 로마서12정2절의 말씀 같이 “너희는 이 세대를 본 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여” 마태복음5장16절 말씀 같이 “이 같이 너희 빛을 사람 앞에 비추게 하여 저희로 너희 착한 행실을 보고 하늘에 계신 너희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는” 우리가 되어야 하겠습니다.

Monday, April 9, 2012

Is the Japanese Party Ending? (일본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한국을 비롯한 일본, 대만, 또 중국의 경제발전 경로와 혁신궤적(innovation trajectory)를 얘기할 때 기존의 문헌에서 종종 간과하고 있는 중요한 점 중의 하나가 미국과의 관계이다. 일본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모델이 되어왔는데 미국의 political economy와 일본의 political economy가 결탁되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예를 들어 이들 국가들의 미국 treasury holding을 살펴보면 (왜 이를 구매해 왔고 이는 어떤 기능을 수행했는가 등) 이 관계가 designed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또 일본이 왜 Plaza Accord에 동의했고 그 이후에 어떤 길을 걸어왔는지도 분석해 보면 명확해 진다.

현재 일본이 어떤 길을 가고 있는 지도 이러한 넓은 맥락에서 보면 앞으로의 추이를 가늠해 볼 수 있다.(미국은 일본이 도입한 거의 모든 정부 interventions을 따라 하고 있는데 일본의 경우 성공하지 못했음에도 그리하고 있다. 두 나라 다 bond markets이 얼마큼 버티느냐가 관건일 터이다. 미국의 경우 아직 기간이 많이 남아있지 않느냐는 것이 많은 사람들의 전망이긴 하지만) 이는 한국과 중국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IMF위기 이후 market-based economy로 전환했다고 많은 이들이 주장하고 있지만 이는 서구의 crony capitalism을 받아들여 버블경제를 활성화 시킨 측면이 크고 어떤 의미에서는 stimulus와 bailouts을 통해 state control을 증가시켜왔기 때문에 genuine capitalism과는 거리가 멀다.

한국이 IMF 위기 이후에 무엇보다도 시급히 복원해야 했을 사안이 monetary independence인데 이는 국가의 sovereignty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현실은 이와는 상당히 거리가 멀게 진행되어 왔다.

물론 현재의 경제상황은 전세계 경제가 맛물려 있고 global debt cycle의 정점을 지나고 있기 때문에 많은 국가들이 독자적인 통화/재정 정책을 펼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한국과 일본 모두 중국 경제의 의존도가 높은데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영화 "델마와 루이스"의 마지막 장면에서 그랜드 캐년의 절벽을 향해 달리는 델마와 루이스를 연상케 하고 있다.

(제가 정기적으로 포스팅을 할 때는 미국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이 많았는데 블로그를 쉬고 있는 동안에 한국에서 들어오는 트래픽이 더 많아서 영어로는 이미 여러 번 얘기한 것을 우리말로 간략하게 적습니다. 제 블로그 오른쪽에 링크된 블로그들이 참고가 될 것입니다. 이들 중 몇몇 블로그는 2008년 리먼 붕괴 이전 수년전부터 전세계 경제에 대한 전망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해 왔습니다.)

From Zero Hedge:

As we discussed here just two weeks ago,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Japanese officials will decide to turn the currency war amplifier volume to 11 and devalue the JPY. With carry trades unwinding rapidly, JPY continues to strengthen (much to their chagrin) but now we are seeing very aggressive positioning in 5Y JGB breakevens (or inflation bets) which implicitly belie devaluation expectations. The key being that, breakevens spiking implies a market expectation that the BoJ will finally be forced to stimulate inflation, as Andy Xie recently pointed out, but going the hyper-inflate path and crushing the JPY. This instead of the alternative, for an economy which is now no longer in a trade surplus, which is a collapse in bonds which has its own very nasty endgame (where, as a jarring reminder, if bond yields rise to 2 percent, the interest expense would surpass the total expected tax revenue of 42.3 trillion yen).

http://www.zerohedge.com/news/japanese-party-ending

Sunday, April 8, 2012

Samsung Overtakes Apple Again in Smartphone Sales

애플과 삼성은 다른 듯 하지만 공통점을 갖고 있다.

애플의 performance가 soaring 해왔고 (1년 새 75% 상승) 미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크며 (Apple revenue makes up 0.84% of the U.S. GDP) 헤지펀드의 온상이 되어온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삼성 역시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주가가 지난 7개월 새 두 배로 뛰었다.

As goes Apple, so goes the U.S.? As goes Samsung, so goes Korea?

또한 애플과 삼성 모두 협력업체들의 마진을 짜내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삼성은 물론 애플보다 훨씬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고 있는 기업이지만 (혹자는 한 때 미국의 제조기업을 대표하던 GE가 더 이상 제조회사가 아닌 financial company로 전락했다고 주장한다) 스마트폰의 경우 현재의 경제상황을 고려할 때 훗날 역사가들이 버블 경제의 마지막 거품들 중의 하나로 지적할 지 모르겠다. 이전에 포스팅한 article에서도 언급이 되었듯이 스마트폰의 성공과 유행은 혁신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From Chosunilbo:

Samsung Electronics overtook Apple again as the biggest smartphone seller in the global market in the first quarter this year. The two firms have played musical chairs with the top position since last year.

Business magazine Forbes on Monday quoted a market report released by Canaccord Genuity investment banking saying Samsung was on top with 28.2 percent of the global market share from selling 41 million smartphones from January to March.

Apple came second with 32.6 million smartphones and a 22.4 percent market share.

http://english.chosun.com/site/data/html_dir/2012/04/04/2012040401004.html
"For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John 3:16

Friday, April 6, 2012

많이들 걱정하셨죠? 블로그를 연지 3년 정도 되었는데 이렇게 오래 글을 올리지 않은 적은 처음인 것 같네요. 그 동안 주인장이 방치해 놓은 블로그를 방문해 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왼쪽 눈에 이상이 생겨 아무래도 블로깅하는게 눈에 부담을 주는 일이기에 글을 올리지 못했어요. 수술을 하게 된다면 시력을 거의 잃을 가능성이 큰데 책을 쓰는 것이 지력과 체력을 요구하는 일이라 한쪽 눈으로 책을 쓰는 것이 얼마나 힘들까, 또 시간을 아껴 써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양쪽 눈이 모두 많이 안 좋았는데 그래도 이 눈을 가지고 정상적인 생활을 해 온 것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아직은 건강할때 좋은 글을 많이 써야 한다는 생각에 꾸준히 글쓰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고 있습니다.

전문서적을 출판해 보신 분이라면 5000부 이상 팔리기가 쉽지 않다는 것을 아실 겁니다. 꾸준히 포스팅할 때 한달 조회수가 1000을 넘었으니 블로그도 지식을 공유하는 유익한 매체라는 생각입니다.

그 동안 세계경제는 많은 이들이 전망하는 대로 그 수순을 서서히 밟아가고 있는 것 같고, 한국이나 미국이나 주요 선거를 앞두고 있어서 올해는 muddle throug 하고 있는 양상입니다.

예전처럼 자주 포스팅은 못하더라고 중요하거나 주목해야 할 일들은 포스팅을 할 생각입니다. 응원해 주세요. 이 블로그에 올리는 글들이 다루어진 여러 주제에 대해 누군가가 더 발전된 글을 쓰려고 할 때 디딤돌이 되기를, 또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일을 하려는 분들께 좋은 정보와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 주기를 소망합니다.

Happy E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