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rsday, April 7, 2011

방사능 비 노출 피해야: 안정성 보장할 수 없어

이미 우리는 외국 보도를 통해 일본 정부가 방사능 관련 사실을 국민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고 바로 전에 올린 제로헤지 포스팅에서도 한국정부도 일본정부처럼 똑 같은 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한국언론에서도 방사능 노출과 관련된 위험을 경고하고 있다.

미디어 오늘로부터:

7일부터 8일까지 전국적으로 내리는 비에 후쿠시마 제1원전 발 방사능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이 같은 방사능에 노출될 경우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등 정부 당국은 '극미량''전혀 영향이 없다'고 거듭 주장하고 있지만 해외나 국내 의료시민단체 쪽을 중심으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민들에게 외출 자제와 비를 맞지 말도록 권고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하미나 단국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과 교수는 7일 오전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WHO 기준으로 볼 때 연간 10베크렐을 넘겨서는 안되는데, 누적노출량을 계산해볼 때 기준치의 약 4 내지 5분의1 수준”이라며 “이는 낮은 수준이 아니다. 기준치일 때 암 발생 확률이 10만 명 가운데 1명이라는 것이고, 또한 이것의 4 내지 5분의 1이라는 것은 한국 국민 4800만 명 가운데 100명 안팎이 평생 동안 추가적으로 암이 발생할 확률이 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하 교수는 “10만명 중 1명이라는 기준이 개인적으로 볼 때 피부로 느끼지 못하는 수준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회적으로 볼 때는 예방해야 하는 수준”이라며 “모든 국민이 다 노출된다면 추가적인 암 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 때문에 ICRP(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는 이 정도 방사성물질이 검출되고 있을 때엔 시민들에게 ‘노출을 통제하라’고 권고한다”며 “특히 식수, 음식, 공기 등 사람이 노출될 수 있는 모든 경로에 해당하는 것을 관리하도록 촉구하고,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정보를 알리도록 하고 있다”고 전했다. 국내에서 극미량이기 때문에 전혀 걱정할 이유가 없다고 장담하는 것에 대해 하 교수는 “우리 나라의 경우 예방하라는 의견에 대해 방사능 공포를 조장한다고 하는데, 크게 양보해서 100만명 중의 1명이 추가적으로 암이 발생할 확률이 생긴다고 해도 정부는 국민에게 사회적 노출을 더욱 더 줄이라고 해야 옳다”며 “‘극미량이니 건강에 미치는 피해가 적다’고 할 수는 있어도 ‘극미량이니 안전하다’고 해서는 안된다. 안전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조언했다.

우석균 보건의료연합 정책실장도 “정부는 사전예방의 법칙에 따라 가능하면 국민들에게 방사성물질 우려가 있으니 외출을 자제시키고 체육활동을 금지시키도록 얘기해주는 것이 맞다”며 “극미량으로라도 계속 노출되면 인체 내에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제주도로 한정할 경우 인구 50만 명으로 보면 1~2명이 평생동안 추가적으로 암이 걸릴 확률이 생긴다는 것인데 이를 무시하고 지나갈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731

Update: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기술원)이 매일 발표하고 있는 대기 중 방사성물질 측정 값이 실제보다 작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울진원전민간환경감시기구(감시기구)는 7일 활성탄필터를 이용해 대기 중 방사성 요오드 양을 측정한 결과 기술원이 측정한 수치보다 평균 최고 6배 많았다고 밝혔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기술원은 전국 12개 지방방사능측정소에서 유리섬유필터를 이용해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는데 반해, 감시기구는 활성탄필터를 이용해 측정한다. 활성탄필터는 24시간 동안 80㎥의 공기를 채집해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는 반면, 유리섬유필터는 24시간 동안 1200㎥의 공기를 채집해 측정한다.

기술원 관계자는 “활성탄필터는 요오드 외의 다른 방사성물질은 검출할 수 없다”며 “유리섬유필터를 쓰는 것이 국제적 기준이고 활성탄필터는 발전소 근처에 기체상태의 방사성물질이 다량 나오는 지역에서만 소규모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감시기구 측은 “전국 12개 측정소만으로는 우리나라의 방사성물질을 제대로 측정했다고 보기 어려운데, 그마저도 제대로 된 측정설비를 갖추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754

Update:

우석균 보건연합 정책실장(성수의원 전문의‧가정의학과)은 “방사성물질의 허용치가 리터당 10베크렐이라 해도 이는 어른에 맞춰진 것이고, 아이들의 경우 많게는 10~20배의 위험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 실장은 ‘2리터씩 2년간 먹어도 X레이 방사선 1.4배 쬔 것과 같은 수준’이라는 조선일보의 주장과 ‘1년 내내 먹어도 아무렇지 않다’는 중앙일보 문화일보 등의 보도에 대해 “하늘에서 떨어진 빗물에 방사성물질이 섞여있다는 것을 알고도, 과연 이 물을 자신들의 아이들에게 먹일 수 있겠는지 의문”이라며 “빗물은 수돗물이 되고, 수돗물은 방사선을 거르지 못한다. 이를 방목하는 가축이 먹고, 또한 땅에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무엇보다 기사를 쓴 기자 자식에게 먹일 자신이 있느냐”고 되물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94780

No comments:

Post a Comment